2025년 "청년 주거 안정장학금" 조건 원거리 기준 및 지원금
2025년 "청년 주거 안정장학금" 조건. 원거리 기준 및 지원금 총정리!
🏠 집에서 먼 대학에 다니며 주거비 부담을 느끼는 대학생이라면?
2025년 주거안정장학금을 꼭 확인하세요!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학생을 대상으로 매월 최대 2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어떤 조건이 필요하고,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주거안정장학금이란?
💡 주거안정장학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국장학재단이 운영하는 장학금입니다.
✔️ 운영 기관: 한국장학재단
✔️ 지원 목적: 주거비 지원 → 학업 집중 환경 조성
✔️ 지원 대상: 저소득층 가정 대학생 (기숙사 생활, 자취생 포함)
2. 지원 대상 및 원거리 기준
💡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 지원 대상
✔️ 나이: 만 39세 이하 미혼자
✔️ 소득 기준: 중위소득 4구간 이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포함)
✔️ 학적 요건: 신입생, 재학생, 편입생, 복학생 모두 가능
✔️ 성적 기준: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C학점(70점/100점) 이상
(※ 신입생 및 장애인 학생 성적 기준 없음)
📍 원거리 기준(이중 거주 요건)
💡 대학교와 부모님 거주지가 다른 교통권(원거리)이어야 지원 가능!
🗺 교통권 구분: 대도시권역 / 시지역 / 군지역
▶ ✅ 지원 가능한 경우
✔️ 대전권 대학 + 수도권 부모님 주소 → 서로 다른 대도시권역
✔️ 전주시 대학 + 남원시 부모님 주소 → 같은 도지만 인접하지 않은 시
▶ ❌ 지원 불가능한 경우
❌ 서울 대학 + 성남 부모님 주소 → 같은 생활권
❌ 창원시 대학 + 진주시 부모님 주소 → 같은 교통권
📌 세부 지역 기준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3. 지원금 및 혜택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 학기 중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2년제: 최대 4회(2년) / 4년제: 최대 8회(4년)
✔️ 방학 기간(7,8월 / 12월) 지원 ❌ (단, 계절학기 수강 시 예외)
✔️ 실제 주거비에 한해 지급 (임차료, 수도·연료비, 관리비, 주택임차 이자 등)
✔️ 보증금 지원 가능! (보증금 환산율 연 4% 적용)
💡 예시 계산
📌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30만 원일 경우
→ 보증금 월 환산액 33,333원 인정 → 총 333,333원 지원 가능!
4. 신청 방법 및 절차
📌 2025년 신청 기간:
📅 신청 기간: 2025년 2월 4일(화) ~ 3월 18일(화) 18시까지
📅 서류 제출 및 가구원 동의: 2025년 2월 4일(화) ~ 3월 25일(화)
📌 신청 절차:
1️⃣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https://www.kosaf.go.kr) 접속
2️⃣ 로그인 후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페이지 이동
3️⃣ 신청서 작성 후 관련 서류 업로드
4️⃣ 서류 제출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빙자료, 임대차계약서 등)
5️⃣ 심사 후 개별 결과 통보 (신청 마감 후 약 1~2개월 내)
5. 마치며
🏠 ‘주거안정장학금’, 꼭 신청해야 하는 이유!
✔️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경제적 부담 완화
✔️ 대학생 대상 맞춤형 주거 지원 → 안정적인 학업 환경 조성
✔️ 저소득층 대학생 대상 확대 → 보다 많은 학생이 혜택 받을 수 있도록 개선
📌 신청 및 자세한 사항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한국장학재단
www.kosa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