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삐라? 삐라 뜻은? 삐라 본 적 있으세요?

정보의 숲 2024. 6. 7. 17:19
5월 29일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전국 200곳 이상에서
북한이 띄운 오물 풍선들이 발견되는 일이  있었는데요...

갑자기 한밤중에 재난문자가 울리고.. 이게 무슨 상황인 건지

재난문자 내용만 보면 무슨 일인지 알기가 어렵더라고요

그리고, 예전에 국민학교 있던 시절 학교 운동장에서 대북 관련

종이쪽지 같은 전단지를 가져가면 파출소에서 연필을 주셨었는데요..

 

 

"삐라"는 주로 북한이나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는 선전용 전단지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남한에서도 사용되며, 정치적, 군사적 목적으로 다른 국가나 지역에 대한 선전, 정보, 혹은 주장을 담은 전단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됩니다. 북한에서는 이러한 삐라를 주로 남한에 대한 선전 목적으로 사용하며, 남한 내부로 날려 보내기도 합니다. 반대로 남한에서도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전 목적의 전단지를 배포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원치 않는 광고나 선전물을 비하하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삐라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1. 선전과 정보 전달: 삐라는 특정 정치적 또는 사회적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사람들의 생각이나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나 정치 단체가 자신들의 정책이나 이념을 홍보하기 위해 삐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심리전: 군사적 목적으로도 사용됩니다. 적군의 사기를 떨어뜨리거나 군대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기 위해 적군 지역에 삐라를 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적의 전투 의지를 약화시키거나 항복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의 일부로 사용됩니다.
  3. 상업적 광고: 현대 사회에서 삐라는 상업적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신제품 홍보, 할인 행사, 오픈 기념 등 다양한 상업적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대중의 관심을 끌고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4. 사회적 운동이나 캠페인: 특정 사회적 이슈나 캠페인을 알리기 위해 삐라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환경 보호, 인권 증진, 사회적 정의와 같은 주제를 대중에게 알리고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이처럼 삐라는 그 목적과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메시지로 제작되어 사용됩니다.

 

1990년대 삐라는 주로 남북한 간의 정치적 선전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시기는 냉전이 끝나가고 있었지만, 남북한 관계는 여전히 긴장된 상태였습니다. 남한은 북한 주민들에게 자유와 인권, 그리고 남한의 경제적 성공을 알리기 위해 삐라를 사용했습니다. 반면, 북한도 남한에 대한 선전과 자신들의 체제 우월성을 주장하기 위해 삐라를 남한 지역으로 보냈습니다.

이 시기의 삐라는 종이 전단 형태로, 때로는 풍선이나 비닐에 넣어 바람이나 강을 통해 상대방 지역으로 보내지곤 했습니다. 이 전단들은 각각의 정치적 메시지, 사진, 그림 등을 포함하여 상대방의 정치 체제를 비판하거나 자신들의 체제를 찬양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번 재난 문자는 수원을 비롯해  의정부,파주,오산,용인 등 도내 13개 시군에 발송됐었다고 하는데요..

이 풍선에는 오물이 있었다고 하죠... 이런 짓을 왜 하는지.... 여전히 알 수 없는 북한의 행동입니다.

 

이번에 북한이 날린 대남전단 풍선에는 담배꽁초와 거름 같은오물들이 담겨있었다고 합니다.

1개 풍선에 달린 적재물은 약 10kg정도이고,남쪽으로 대략 260여개의 오물 풍선을 날렸다고 합니다.

 정체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공포감과 불안감을 조성했는데요. 오물풍선인 게 그나마 다행인 건가요...ㅜ